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라이프해킹스쿨
- Optional 사용법
- 창업형인간되기
-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
- AWS 프로젝트
- AWS 키페어
- @async
- vscode
- AWS S3
- AWS ssh
- github CI/CD
- 스트림 예제
- 창업형인간
- 자바 스트림
- java stream
- 창업 마인드
- java Optional
- optional
- 마인드
- AWS
- java null 처리
- CI/CD
- dockerfile
- 창업
- spring async
- ssh
- AWS 프로젝트 올리기
- spring multi thread
- AWS EC2
- Visual Studio Code
- Today
- Total
목록ssh (3)
Wookim
SSH (Secure SHell) 상황으로 알아보자. 내컴퓨터 A와 다른 컴퓨터 B가 있을 때, A컴퓨터에서 B컴퓨터에 접속하여 B컴퓨터를 사용하고 싶은 상황이다. 나 -> A컴퓨터 -> 네트워크 -> B컴퓨터 접속 -> B컴퓨터 사용 이렇게 내컴퓨터로 다른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을 원격제어라 한다. 이런 상황에서 아무나 B컴퓨터에 접속해서 사용한다면 해킹을 당하거나 위험할것이다. (상상해 보라. 누가 내 컴퓨터에 들어와 소중한 자료들을 지우거나 빼간다면?....) 따라서 사람들은 보안을 위해 규칙을 정하기로 했다. 외부에서 특정 컴퓨터로(B컴퓨터) 접속을 하려면 규칙을 준수해야한다. 규칙 1.현관으로 들어 올 것. 2.현관으로 들어 올 때 등록해둔 신분증을 제시할것. 간단하고 거칠게 표현하면 위와 같다...
지난 글에서 회원가입 및 콘솔창 진입하기 까지 했다. 이번에는 EC2 가상 머신을 띄워보고 거기에 여러가지 설정들을 해보자. 위 화면에서 EC2를 찾아 클랙해보자. 요런 화면이 나온다. 이 화면은 생성할 EC2 머신의 운영체제(OS)를 선택하는 화면이다. 필자는 우분투로 진행할것이다. 주의할점은 프리 티어 사용 가능 이라고 쓰여진것만 써야한다!!!!! 꽁짜라고 쓰여진것을 써야 돈이 안나오니 잘 모르겠다면 꼭꼭 주의해서 선택하자. 다음 단계는 인스턴스 유형을 선택하는 화면이다. 쉽게 말해 컴퓨터의 스펙을 정하는 단계이다. 컴퓨터 잘아시는 분이라면 CPU, 램, 그래픽카드, ssd, 하드 뭐 이런것들 다들 잘 알것이고... 좋은 장비를 선택하면 사용 요금이 더 커진다고 생각하면 된다. 필자는 과금은 무섭기에..
vscode SSH 사용하기 환경 vscode 최신버전 window10 ms 공식 ssh 익스텐션 설치 순서 vscode 실행 마켓플레이스 열기. (ctrl + shift + X) 마켓플레이스에서 remote ssh 검색 microsoft의 Remote - SSH 설치 아래 그림처럼 모니터 아이콘이 생긴것을 확인 해당 아이콘 버튼 클릭 위 그림처럼 connections 부분에 아무것도 없을 것이다. (필자는 사용 중 이므로 server라는 접속정보가 존재) connections 에 마우르스를 올려놓으면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 아이콘이 출력된다. 해당 버튼을 클릭한다. 아래 그림처럼 환경 설정 창이 출력된다. 당황하지 않고 Settings를 눌러준다 위 그림처럼 Config File를 저장할 위치를 지정해야..